반응형

지리학(Geography)

지리학은 지표상에서 발생하는 자연 및 인문 현상을 지역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이 학문은 공간과 자연, 그리고 경제, 사회와의 관계를 연구 대상으로 삼으며, 공간이나 자연환경이라는 물리적 존재를 포함하기 때문에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성격을 동시에 지닙니다. 지리학은 본래 농경, 전쟁, 통치 등을 위해 각 지역의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기 위한 연구에서 시작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지역마다의 공간적 차이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학문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지리학의 주요 관심사는 불규칙한 분포와 상호관련성입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사물은 공간적으로 불규칙하게 분포하며, 이러한 불규칙한 분포가 사물의 지리적 특성을 드러냅니다. 또한, 지리학은 농업과 같은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기후, 토양, 인구, 경제적 조건, 기술력 등의 다양한 요인 간의 연관성을 연구합니다. 이를 통해 지리학은 "왜, 그곳에, 무엇이 있으며, 그 결과로 그곳에서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탐구합니다.

지리학이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어 "γεωγραφία(geographia)"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에라토스테네스가 처음 사용한 말로 "땅(η γη, hê gê)"과 "기술(γραφειν, graphein)"을 합친 표현입니다. 한편, 한자어인 지리(地理)는 본래 산천의 환경과 형세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후에 오늘날의 지리학과 유사한 의미로 발전했습니다.

서양의 지리학

고대 근동 지역에서는 이미 세계지도를 제작했으며, 가장 오래된 지도는 기원전 9세기 바빌론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그리스 철학자 아낙시만드로스(기원전 610년 경 ~ 기원전 545년 경)는 지리학의 진정한 창시자로 불리며, 그의 아이디어는 후대 학자들에 의해 인용되었습니다. 그리스인들은 예술과 과학적 방식으로 지리학을 접근했으며, 지도 제작, 철학, 문학, 수학을 통해 지리학을 탐구했습니다. 예를 들어, 파르메니데스와 피타고라스는 지구가 둥글다고 주장했고, 아낙사고라스는 지구의 윤곽이 둥글다는 것을 설명했습니다. 지구의 반지름을 처음 계산한 사람은 에라토스테네스였습니다.

중세 유럽에서는 로마 제국의 붕괴로 인해 지리학의 발전이 더디었으나, 이슬람 세계에서는 지리학이 활발히 발전했습니다. 무슬림 학자 무함마드 알 이드리시는 매우 상세한 세계지도인 Tabula Rogeriana를 제작했습니다.

16세기부터 17세기 동안의 유럽 대항해 시대에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마르코 폴로, 제임스 쿡 등의 탐험가들에 의해 많은 신대륙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지리학적 사실과 이론에 대한 수요를 불러일으켰고, 그 결과 경도 문제와 같은 실질적인 도전이 제기되었습니다. 존 해리슨은 크로노미터를 발명하여 경도 측정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18세기와 19세기에는 지리학이 분리된 학문 분야로 자리 잡았고, 많은 유럽 대학의 교과과정에 포함되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여러 지리 학회가 설립되었으며, 프랑스 지리학회(1821년), 왕립 지리학회(1830년), 미국 지리학회(1851년), 내셔널지오그래픽 학회(1888년)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 시기 임마누엘 칸트, 알렉산더 폰 훔볼트, 칼 리터, 폴 비달 드 라 블라슈 같은 학자들이 지리학을 철학에서 학문적인 과목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습니다.

---

이슬람의 지리학

9세기부터 14세기까지 이슬람 제국의 확장과 함께 지리학이 크게 발전했습니다. 이슬람 신자들이 메카로 순례 여행을 하면서 지리적 지식이 축적되었으며, 동서 간 무역로 개척과 교역을 통해 다양한 지리적 정보가 추가되었습니다. 이슬람 학자들은 이를 바탕으로 지리적 지식을 아랍어로 번역하고 보존했습니다. 이러한 지리학적 저서들은 르네상스 시기에 라틴어로 번역되어, 유럽에서 지리학의 부흥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또한 이슬람 학자들은 수리 지리학, 측량, 야외 조사 등의 분야에서도 중요한 공헌을 했습니다.

---

동양의 지리학

중국에서는 3세기부터 지리학 연구와 문헌이 발달했으며, 13세기까지 당시 유럽보다 훨씬 정교한 이론을 발전시켰습니다. 중국의 지리학은 서양과 달리 독자적인 지리관을 바탕으로 발달했으며, 천원지방 사상과 같은 독특한 개념을 바탕으로 발전했습니다. 17세기 이후에는 서양식 지리학 이론이 중국에 도입되었습니다.

한국의 경우 삼국시대나 그 이전의 지리학에 대한 직접적인 자료는 거의 남아있지 않지만, 신라 말기에는 선종 승려들에 의해 중국의 풍수지리설이 전해졌습니다. 고려시대에는 김부식의 삼국사기 지리지와 같은 지리 관련 문헌이 남아있으며, 조선시대에는 국방과 중앙 집권 강화를 위해 많은 지도와 지리지가 편찬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와 같은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가 제작되었습니다.

조선 후기에 실학이 발달하면서 민족에 대한 관심이 깊어졌고, 이로 인해 전통 지리학도 발달했습니다. 한백겸의 동국지리지, 정약용의 아방강역고, 이중환의 택리지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후 서양식 지도가 전해지면서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같은 정밀한 지도가 제작되었습니다.

---

현대의 지리학

지난 두 세기 동안 컴퓨터 기술의 발전은 지리정보학을 크게 발전시켰습니다. 20세기 서구에서 지리학은 환경결정론, 지역지리학, 계량혁명, 비판적 지리학이라는 네 가지 주요 흐름을 따랐으며, 지질학, 식물학, 경제학, 인구학 등 다양한 학문과의 연계가 늘어났습니다. 특히, 지구 시스템 과학의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통합적인 관점에서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이 중요해졌습니다.

현대 지리학의 기초

현대 지리학은 주로 서구에서 유래했으며, 전통적으로 지리학자는 지도학자나 지명 연구자로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지리학의 본질은 단순히 지명을 다루는 것에 그치지 않습니다. 지리학자는 현상, 과정, 사물의 시공간적 분포를 연구하며, 인간과 그들이 사는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합니다. 공간과 장소가 다양한 주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리학은 다른 학문들과 깊은 연관성을 가집니다. 이러한 지리학적 접근은 현상과 그것의 공간적 패턴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깊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윌리엄 휴는 1863년에 지리학이 단순히 지명이나 장소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현상을 분류하고 비교하며, 원인과 결과를 추적하여 자연의 법칙을 이해하고,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학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지리학은 '세계의 기술(記述)'이며, 그 본질은 과학적 접근에 있습니다. 이는 설명과 추론, 그리고 원인과 결과를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것입니다.

지리학의 다섯 가지 기본 주제

미국지리교육학회와 미국지리학회는 1984년에 지리학의 기본 주제를 다섯 가지로 선정하였습니다.

1. 위치 (Location)  
   - 위치는 절대위치와 상대위치로 나뉩니다. 절대위치는 경위도와 같은 구체적인 좌표로 나타내는 실제 위치를 의미하고, 상대위치는 다른 장소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을 "한강 위의 도시"로 표현하는 것이 상대위치에 해당합니다.

2. 장소 (Place)  
   - 장소는 그곳의 고유한 특성을 나타냅니다. 장소의 특성은 인문적 특성과 자연적 특성으로 나뉘며, 인문적 특성은 인간의 활동으로 나타나는 것이고, 자연적 특성은 환경에 의해 형성된 것입니다.

3.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Human-Environment Interaction)  
   - 인간과 환경이 서로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주제로, 인간이 환경에 의존하는 관점, 환경을 변화시키는 관점, 그리고 환경에 적응하는 관점이 있습니다.

4. 이동 (Movement)  
   - 이동은 인간과 장소, 자연환경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는지를 다룹니다. 인간, 물자, 아이디어 등이 이동함으로써 장소와 장소 간의 상호작용이 발생합니다.

5. 지역 (Region)  
   - 지역은 공통점이 있는 영역으로 정의되며, 지리학의 기본적인 연구 단위입니다. 지역 내에서 기후, 문화, 민족 등과 같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하며, 이러한 특성들을 통해 장소 간의 유사성과 차이를 분석합니다.

이러한 주제들은 현대 지리학이 공간적 패턴과 인간-환경 관계를 설명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지리학의 분류와 주요 연구 분야

지리학은 여러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접근 방법에 따라 주로 계통지리학과 지역지리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계통지리학 (Systematic Geography)
계통지리학은 특정 주제를 지리적으로 접근하여 일반적인 원리를 도출하는 연구 방법입니다. 계통지리학은 연구 주제에 따라 인문지리학과 자연지리학으로 나뉩니다.

 인문지리학 (Human Geography)
인문지리학은 인간 활동의 공간적 조직과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인간이 어떻게 공간을 조직하고 활용하는지, 그리고 그 조직의 형태와 의미에 대해 연구합니다. 인문지리학은 다양한 세부 분야로 나뉩니다.

- 경제지리학: 경제 활동의 위치, 분포, 공간적 조직을 탐구
- 관광지리학: 여행과 관광을 사회적, 문화적 활동으로 연구
- 교통지리학: 인간 활동과 이동, 연결을 연구하는 경제지리학의 한 분과
- 도시지리학: 도시와 같은 밀집된 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연구
- 문화지리학: 문화적 산물, 규범, 이들의 다양성과 공간적 연관성 연구
- 발전지리학: 거주지의 삶의 질과 생활 수준을 연구
- 보건지리학: 보건 문제에 지리적 지식을 적용
- 사회지리학: 사회 현상과 공간적 요소 간의 관계를 연구
- 시간지리학/역사지리학: 사건의 시간과 공간적 측면 연구, 역사지리학은 과거의 지리 탐구
- 인구지리학: 인구의 분포, 구성, 이주와 장소와의 연관성 연구
- 정치지리학/지정학: 정치적 모임과 그들의 공간적 영향 연구, 지정학은 지리가 국제 정세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종교지리학: 종교적 신념과 지리 간의 상관관계 연구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다음과 같은 분야도 발전했습니다.
- 행동주의 지리학: 인간 행동의 독립성을 강조하며, 장소와 연계된 시각과 대조됨
- 여성주의 지리학: 여성주의를 환경, 사회, 지리적 공간과 결합해 연구
- 지리철학: 사람들이 인식하는 세계를 연구하는 분야

 자연지리학 (Physical Geography)
자연지리학은 자연과 환경의 구성 요소와 상호작용, 공간적 분포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자연지리학은 자연과학 또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취급되며, 다양한 분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경관생태학: 환경 내 생태계와 생태학적 과정 연구
- 고지리학: 과거의 지리적 현상 연구
- 기후학/기상학: 각각 기후와 기상 현상 연구
- 빙하학: 빙하와 얼음 관련 현상 연구
- 생물지리학: 종이나 생태계의 분포 연구
- 수문학/수로학: 물의 순환 및 물이 있는 지형 연구
- 지형학: 지형의 형성과 발달 과정을 연구
- 측지학: 지구의 측정과 표현을 연구
- 토양학: 자연 환경에서 토양 연구
- 해안지리학: 해안선의 지리적 특징 연구
- 해양학: 해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연구
- 환경자원관리: 인간의 환경에 대한 영향과 상호작용 관리

 지역지리학 (Regional Geography)
지역지리학은 특정 지역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로, 지구상의 특정 지역을 자연적, 인문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정의하려는 학문입니다. 지역구분(Regionalisation)도 연구의 주된 관심사 중 하나입니다. 대표적인 연구 분야로는 한국지리, 유럽지리 등이 있습니다.

 지리정보학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GIScience)
지리정보학은 1950년대 중반 이후 계량 혁명의 영향으로 새롭게 떠오른 분야입니다. 지도학과 지형학에서 사용되던 공간 기술을 컴퓨터 기술과 결합하여 연구합니다. GIS(지리정보시스템)와 원격탐사를 통해 다양한 학문과 연계되었으며, 지리학 연구의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GIS, GPS, 원격탐사 등을 활용한 공간 분석과 연구가 이 분야의 핵심입니다.

---

이와 같이, 지리학은 다양한 접근 방식과 세부 분야를 통해 인간과 환경의 관계를 심도 있게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반응형

'기타 > 과학 및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문학  (0) 2024.09.12
태양계  (0) 2024.09.12
핵물리학  (0) 2024.09.11
암호학  (0) 2024.09.11
반도체  (0) 2024.09.10

+ Recent posts